박승희

덤프버전 : r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승희(동명이인) 문서
박승희(동명이인)번 문단을
박승희(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박승희/골 때리는 그녀들

박승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동계올림픽 여자 1000m 금메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
세계선수권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24회1999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1회1976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셀레스트 클라패티25회2000 셰필드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2회1977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다 웹스터26회2001 전주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3회1978 솔리헐파일:미국 국기.svg 새라 닥터27회2002 몬트리올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4회1979 퀘백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28회2003 바르샤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5회1980 밀라노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29회2004 예테보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6회1981 뫼동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30회2005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7회1982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31회2006 미니애폴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8회1983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2회2007 밀라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9회1984 피터버러파일:일본 국기.svg 키노시타 마리코33회2008 강릉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0회1985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34회2009 빈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1회1986 샤모니파일:미국 국기.svg 보니 블레어35회2010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희
12회1987 몬트리올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36회2011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해리
13회1988 세인트루이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7회2012 상하이파일:중국 국기.svg 리젠러우
14회1989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8회2013 데브레첸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5회1990 암스테르담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9회2014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
16회1991 시드니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0회2015 모스크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17회1992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41회2016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18회1993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2회2017 로테르담파일:영국 국기.svg 엘리스 크리스티
19회1994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3회2018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20회1995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44회2019 소피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1회1996 헤이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45회2020 서울취소COVID-19
22회1997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46회2021 도르드레흐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3회1998 빈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47회2022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펼치기 · 접기 ]
48회2023 서울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잔드라 벨제부르50회2025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잔드라 벨제부르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1500m파일: 국기.svg
49회2024
로테르담
500m파일: 국기.svg 51회2026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파일:이미지나인컴즈 로고.png
[ 소속 아티스트 ]
ENTERTAINER
남희석지상렬조세호KCM
김경진조수빈유현준최영재
레이디 제인정근우수빈박승희
조은나래박서휘조엘
ACTOR
이정진김민호신고은강승현
박환희서재규이유진김현규
김보미양택호[1]이진주[2]성희현
CREATOR
신지연최서영마이린마이맘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2004년 데뷔 배우. 다수의 연극 및 드라마 출연.[2] 2013년생, 아역배우, 이유진의 동생



[ 선수 명단 ]
MC
이수근배성재
FC 액셔니스타
NO.8
>
정혜인
MF | 주장
NO.10
>
이혜정
FW
NO.11
>
문지인
MF
NO.250
>
이채영
GK
NO.1
>
박하나
FW
NO.14
>
김용지
MF
감독: 김태영 / 코치: 전재홍
FC 월드 클라쓰
NO.452
>
사오리
FW | 주장
NO.14
>
나티
FW
NO.01
>
케시
DF
NO.13
>
애기
MF
NO.8
>
이야누
GK
NO.720
>
카라인
DF
감독: 오범석 / 코치: 이태호
FC 구척장신
NO.100
>
이현이
FW | 주장
NO.18
>
김진경
MF
NO.1
>
허경희
MF
NO.21
>
진정선
GK
NO.66
>
차서린
FW
NO.22
>
요요
-
감독: 하석주 / 코치: 안동혁
FC 불나비
NO.10
>
안혜경
GK | 주장
NO.99
>
박가령
DF
NO.20
>
채연
FW
NO.0
>
강보람
MF
NO.32
>
이주리
FW
NO.21
>
이승연
DF
감독: 백지훈 / 코치: 김기수
FC 국대 패밀리
NO.1
>
김수연
DF | 주장
NO.9
>
명서현
GK
NO.10
>
박승희
DF
NO.11
>
황희정
FW
NO.17
>
나미해
MF
NO.690
>
김민지
MF
감독: 김병지 / 코치: 김종원
FC 스트리밍파이터
NO.67
>
일주어터
GK | 주장
NO.707
>
깡미
DF
NO.23
>
심으뜸
FW
NO.777
>
앙예원
MF
NO.01
>
진절미
DF
NO.5
>
히밥
MF
감독: 이을용 / 코치: 김상균
FC 원더우먼
NO.23
>
김희정
DF | 주장
NO.10
>
키썸
GK
NO.7
>
김가영
FW
NO.31
>
김설희
DF
NO.11
>
트루디
FW
NO.13
>
소유미
FW
감독: 정대세 / 코치: 정주일
FC 탑걸
NO.3
>
채리나
DF | 주장
NO.111
>
유빈
DF
NO.2
>
김보경
FW
NO.59
>
다영
FW
NO.21
>
공민지
MF
NO.00
>
태미
GK
감독: 최진철 / 코치: 이원영
FC 아나콘다
NO.5
>
오정연
GK | 주장
NO.10
>
윤태진
MF
NO.11
>
노윤주
FW
NO.101
>
배혜지
DF
NO.12
>
이나연
DF
NO.20
>
박지혜
DF | 임대선수
감독: 이영표 / 코치: 김현수
FC 발라드림
NO.7
>
경서
MF | 주장
NO.10
>
서기
DF
NO.27
>
민서
GK
NO.3
>
서문탁
DF
NO.24
>
리사
FW
NO.95
>
케이시
DF
감독: 최성용 / 코치: 최승호
FC 개벤져스
NO.7
>
조혜련
GK | 주장
NO.34
>
김민경
FW
NO.5
>
오나미
FW
NO.35
>
김혜선
MF
NO.13
>
김승혜
MF
{{{#!wiki style="background: #660066;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font-size: .65em; color: #f9f210" NO.48

이은형
DF
감독: 조재진 / 코치: 정종봉
이전 선수단 · 감독 · 코치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FC 불나방
NO.18강경헌MF파일럿
NO.18신효범DF파일럿 ~ 시즌 2 (슈퍼리그)
NO.2조하나MF파일럿
FW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NO.37서동주FW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DF시즌 2 (승강 PO)
NO.7송은영MF파일럿
FW시즌 1
NO.4DF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NO.7박선영MF | 1대 주장파일럿 ~ 시즌 2 (프리시즌)
NO.30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NO.77홍수아FW시즌 2 (승강 PO) ~ 시즌 4 (슈퍼리그)
NO.88강소연MF시즌 3 (챌린지리그) ~ 제1회 SBS컵
NO.33윤수현FW제1회 SBS컵
NO.78한초임FW
감독이천수파일럿 ~ 시즌 1
하석주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2 (승강 PO)
현영민시즌 3 (챌린지리그)
조재진시즌 4 (슈퍼리그)
코치문경민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2 (승강 PO)
정종봉시즌 3 (챌린지리그)
원용진시즌 4 (슈퍼리그)
FC 국대 패밀리
NO.11한채아MF파일럿
FW | 2대 주장시즌 1
NO.14[[FC 국대 패밀리#심하은|{{{#fff 심하은}}}]]DF파일럿 ~ 시즌 2 (프리시즌)
NO.3남현희DF | 1대 주장시즌 1
NO.19[[FC 국대 패밀리/이정은|{{{#fff 이정은}}}]]MF시즌 2 (슈퍼리그)
NO.21[[FC 국대 패밀리#이희영|{{{#fff 이희영}}}]]MF시즌 3 (슈퍼리그)
NO.3[[전미라/골 때리는 그녀들|{{{#fff 전미라}}}]]FW파일럿
FW | 임대선수시즌 1
FW | 3대 주장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NO.8[[양은지/골 때리는 그녀들|{{{#fff 양은지}}}]]GK시즌 1 ~ 시즌 3 (슈퍼리그)
NO.123곽민정FW시즌 2 (슈퍼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감독조재진시즌 2 (슈퍼리그)
김병지파일럿 ~ 시즌 1, 시즌 3 (슈퍼리그)
김태영시즌 4 (챌린지리그)
코치원용진시즌 2 (슈퍼리그)
이준원시즌 3 (슈퍼리그)
김종원시즌 3 (슈퍼리그)
전재홍시즌 4 (챌린지리그)
FC 개벤져스
NO.7이성미DF파일럿
매니저시즌 1
NO.11이경실FW파일럿 ~ 시즌 1
NO.02안영미DF파일럿 ~ 시즌 1
NO.80신봉선MF파일럿
FW | 1대 주장시즌 1
NO.74허민GK | 임대선수시즌 4 (슈퍼리그) ~ 제1회 SBS컵
감독황선홍파일럿 ~ 시즌 1
김병지시즌 2 (리그) ~ 시즌 2 (슈퍼리그)
이영표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승강 PO)
코치배정현시즌 2 (리그) ~ 시즌 4 (승강 PO)
원용진제1회 SBS컵
FC 구척장신
NO.1송경아MF파일럿
NO.12진아름FW파일럿
NO.9한혜진MF파일럿
NO.14FW | 1대 주장시즌 1
NO.11[[차수민(모델)/골 때리는 그녀들|{{{#000 차수민}}}]]DF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NO.3아이린GK파일럿 ~ 시즌 3 (슈퍼리그)
NO.7송해나DF파일럿 ~ 제1회 SBS컵
감독최진철파일럿
최용수시즌 1
백지훈시즌 2 (리그) ~ 시즌 2 (슈퍼리그)
오범석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코치김태현시즌 2 (리그)
박태윤시즌 2 (슈퍼리그)
오창현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FC 월드 클라쓰
NO.7구잘FW시즌 1
NO.77아비가일FW시즌 1
NO.00마리아DF시즌 1
NO.23에바DF | 1대 주장시즌 1 ~ 제1회 SBS컵
NO.119엘로디MF시즌 1 ~ 제1회 SBS컵
NO.27라라DF시즌 2 (슈퍼리그) ~ 제1회 SBS컵
감독최진철시즌 1, 시즌 2 (슈퍼리그)
이을용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코치서영덕시즌 2 (슈퍼리그)
김상균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FC 액셔니스타
NO.9이미도DF | 1대 주장시즌 1
NO.7지이수FW시즌 1
NO.41김재화FW시즌 1
DF시즌 2 (리그)
NO.14장진희GK | +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NO.10최여진FW | 2대 주장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NO.1최윤영DF시즌 2 (슈퍼리그)
FW시즌 3 (슈퍼리그)
MF시즌 4 (슈퍼리그)
NO.02이영진DF | 3대 주장시즌 2 (리그) ~ 제1회 SBS컵
감독이영표시즌 1 ~ 시즌 2 (슈퍼리그)
백지훈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코치황인욱시즌 2 (리그)
김병채시즌 2 (슈퍼리그)
김기수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FC 원더우먼
NO.7송소희FW시즌 2 (리그)
NO.1황소윤FW시즌 2 (리그)
NO.110치타DF | +시즌 2 (리그)
NO.11주명DF | 임대선수시즌 2 (리그)
NO.819박슬기DF | 1대 주장시즌 2 (리그)
DF시즌 2 (챌린지리그)
NO.81요니PGK시즌 2 (리그)
GK | 2대 주장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NO.8에이미FW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4 (챌린지리그)
NO.29홍자FW시즌 2 (챌린지리그) ~ 제1회 SBS컵
감독이천수시즌 2 (리그)
오범석시즌 2 (챌린지리그)
하석주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코치심서연시즌 2 (리그)
오창현시즌 2 (챌린지리그)
문경민시즌 3 (챌린지리그) ~ 시즌 4 (챌린지리그)
FC 탑걸
NO.9바다DF시즌 2 (리그)
NO.22문별FW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NO.7간미연FW시즌 2 (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NO.99아유미GK시즌 2 (리그) ~ 제1회 SBS컵
감독최성용시즌 2 (챌린지리그)
김병지시즌 4 (슈퍼리그)
코치이범직시즌 2 (리그)
최승호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김종원시즌 4 (슈퍼리그)
FC 아나콘다
NO.1신아영DF | 1대 주장시즌 2 (리그)
NO.82최은경DF시즌 2 (리그)
NO.77차해리MF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NO.10김다영DF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챌린지리그)
NO.23박은영FW시즌 2 (리그)
FW | 2대 주장시즌 2 (챌린지리그)
NO.8주시은DF시즌 2 (리그) ~ 제1회 SBS컵
감독현영민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조재진시즌 3 (챌린지리그)
코치정종봉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원용진시즌 3 (챌린지리그)
FC 발라드림
NO.4박기영GK | 1대 주장시즌 2 (챌린지리그)
NO.36알리DF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NO.5손승연DF시즌 2 (챌린지리그)
DF | 2대 주장시즌 3 (슈퍼리그)
감독김태영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정대세시즌 4 (챌린지리그)
코치김종현시즌 2 (챌린지리그)
전재홍시즌 3 (슈퍼리그)
정주일시즌 4 (챌린지리그)
FC 스트리밍파이터
NO.22이수날FW시즌 4 (챌린지리그) ~ 제1회 SBS컵
감독최진철시즌 4 (챌린지리그) ~ 시즌 4 (승강 PO)
코치황인성시즌 4 (챌린지리그) ~ 시즌 4 (승강 PO)




>


NO.1
김수연
DF

NO.9
명서현
GK

NO.10
박승희
DF

NO.11
황희정
FW

NO.17
나미해
MF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transparent; width: 14.28%"
NO.690
김민지
MF

[ 이전 멤버 ]
NO.11
한채아
FW
NO.3
남현희
DF
NO.14
심하은
DF
NO.19
이정은
MF
NO.21
이희영
DF
NO.3
전미라
FW
NO.19
양은지
GK
NO.123
곽민정
FW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0; color: #FFC0CB,#fff; min-width: 50%"
[ 관련 문서 ]


박승희
朴勝羲 | Park Seunghi
파일:박승희 프로필 01.jpg
출생1992년 3월 28일 (32세)
경기도 수원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종목쇼트트랙(2006~2014)[1]
주종목: 500m, 1000m, 1500m
스피드 스케이팅(2014~2018)[2]
주종목: 1000m
소속화성시청 (2011 ~ 2015)
스포츠토토 빙상단 (2016 ~ 2018)
종교천주교 (세례명: 리디아)[3]
신체혈액형 B형[4]
신장 167cm[5]
체중 57kg[6]
수훈2020년 체육훈장 청룡장
가족아버지 박진호, 어머니 이옥경
언니 박승주, 남동생 박세영, 형부 김성일
조카 김하율(2020년 5월 11일생)
배우자 엄준태[7](1987년생, 2021년 4월 17일 결혼 ~ 현재)
딸 엄규리[8](2023년 1월 12일생)
학력소화초등학교 (졸업)
서현중학교 (졸업)
광문고등학교 (전학) → 경성고등학교[9] (졸업)
수원대학교 평생교육원 (체육학 / 학사)[10]
소속사이미지나인컴즈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평가
4. 수상 기록
5. 방송 활동
6. 여담



1. 개요[편집]


파일:parkseunghi_01.jpg
대한민국의 前 여자 쇼트트랙, 롱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까지 쇼트트랙 선수로 활동하다 이후 스피드 스케이팅(롱트랙)으로 종목을 변경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1000m 출전권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빙상 최초로 올림픽 두 종목에 출전한 선수가 되었다.


2. 선수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승희/선수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평가[편집]


선천적으로 타고난 단거리 재능과 후천적인 장거리 훈련이 결합하여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최초로 올라운드 스케이터라고 불리는 선수이다. 한국에서 보기드문 뛰어난 순발력과 파워로 시니어 초기까지 단거리가 주종목이었지만 체력이 부족해 장거리가 취약점이었다. 그러나 태릉선수촌에서 쇼트트랙 대표팀의 장거리 훈련을 받으면서 2009-10 시즌부터 중장거리가 주종목이 되었지만 순발력이 떨어져 500m는 메달권에서 멀어진다. 2012-13 시즌 부상에서 복귀한 이후 장거리와 단거리 훈련을 균형있게 하며 퇴보했던 500m 기량이 상승했고, 2013-14 시즌부터 모든 종목이 메달권인 올라운더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다재다능함을 바탕으로 올림픽 쇼트트랙 전 종목 메달 획득[11]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체력, 스피드, 경기운영, 몸싸움, 스케이팅 스킬 등 쇼트트랙에 필요한 모든 능력들을 고루 갖췄지만 그중에서도 박승희가 가장 뛰어난 점이라면 순발력과 판단력. 특히 순발력은 역대 한국 여자선수들 중 최고로 평가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여자 쇼트트랙 최초로 세계선수권 500m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12] 뛰어난 상황 판단력으로 경기운영이 뛰어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레이스를 펼치며, 언제든지 틈이 보이면 놓치지 않고 추월하는데 이때 탁월한 코너링을 이용한 인코스 추월은 박승희의 주특기. 아웃코스 역시 뛰어난 편이지만 500m에서 인코스 추월을 부드럽게 구사할 정도로 코너링과 인코스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체격이 좋아 외국 선수들을 연상케 할 정도로 힘이 좋고 본인도 이를 잘 알기에 몸싸움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편이다. 이 때문에 국제 대회에서 거친 몸싸움을 자주 시도하는 중국 선수들의 더티 플레이의 타겟으로 유독 자주 희생당한 면이 있다.[13] 최고의 스타트 능력을 보유함에 더해 힘이 좋아서 계주에서 다음 차례의 선수를 밀어주는 푸싱 능력이 뛰어나 계주 1번 주자에 최적인 선수이며 대표팀에서 붙박이 1번 주자를 맡았다. 멘탈 면에서도 강심장이어서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 같은 큰 대회 성적이 국내 경기나 쇼트트랙 월드컵보다 좋은 편이었다.


4.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203
세계선수권651
세계 팀선수권210
아시안 게임120
주니어 세계선수권112
합계1296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2014 소치3000m 계주
금메달2014 소치1000m
동메달2010 밴쿠버1000m
동메달2010 밴쿠버1500m
동메달2014 소치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2008 강릉3000m 계주
금메달2010 소피아3000m 계주
금메달2010 소피아종합
금메달2010 소피아1500m
1위2010 소피아3000m S.F.
금메달2013 데브레첸1500m
금메달2014 몬트리올500m
은메달2011 셰필드1500m
은메달2013 데브레첸종합
은메달2013 데브레첸500m
은메달2014 몬트리올종합
은메달2014 몬트리올1000m
동메달2014 몬트리올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금메달2010 보르미오단체전
금메달2011 바르샤바단체전
은메달2008 하얼빈단체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2011 아스타나·알마티1000m
은메달2011 아스타나·알마티3000m 계주
은메달2011 아스타나·알마티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07 믈라다 볼레슬라프2000m 계주
은메달2007 믈라다 볼레슬라프1000m
2위2007 믈라다 볼레슬라프1500m S.F.
동메달2007 믈라다 볼레슬라프종합
동메달2007 몰라다 볼레슬라프1500m

  • 제19회 코카콜라 체육대상 - 우수선수상, 여자우수단체상[14] (2014년 3월)
  • 제61회 대한체육회 체육상 - 체육대상 (2015년 2월)
  • 제58회 대한민국체육상 시상식 및 2020 체육발전유공자 포상 전수식 체육훈장 - 청룡장 (2020년 10월)


5. 방송 활동[편집]


방영일방송사제목비고
2014년
3월 16일파일:MBC 로고.svg아빠! 어디가? 시즌2
4월 5일파일:SBS 로고.svg놀라운 대회 스타킹
4월 7일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5월 17일파일:MBC 로고.svg세바퀴
8월 24일 ~ 9월 21일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2015년
10월 10일파일:JTBC 로고.svg히든싱어4김진호편 연예인 패널
2018년
9월 26일파일:JTBC4 로고.png미미샵
2019년
12월 24일파일:KBS 2TV 로고.svg슬기로운 어른이 생활
2020년
2월 21일 ~ 28일파일:tvN 로고.svg금요일 금요일 밤에
10월 21일유 퀴즈 온 더 블럭
2021년
6월 15일 ~ 29일파일:E채널 로고.svg노는 언니
6월 16일 ~파일:SBS 로고.svg골 때리는 그녀들고정 (FC 국대 패밀리)
7월 20일 ~ 8월 3일파일:E채널 로고.svg노는 언니
2022년
3월 1일 ~ 7일파일:SBS 로고.svg신발벗고 돌싱포맨
6월 2일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6월 26일파일:MBC 로고.svg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1라운드-너를 사랑해
정체공개-그댄 행복에 살텐데
9월 12일파일:tvN 로고.svg멘탈코치 제갈길


6. 여담[편집]


  • 빙상 3남매의 둘째로 언니 박승주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였고, 남동생 박세영쇼트트랙 선수이다. 박승주와 박승희는 동시에 스케이트를 시작했고 2년 뒤 박세영이 따라 시작했다고 한다. 2007년 둘째 박승희가 처음으로 국가대표가 되고, 첫째 박승주가 2012년, 막내 박세영이 2013년에 국가대표로 선발되면서 3남매가 모두 국가대표가 되었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같이 출전했다. 그리고 언니 박승주가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 출신인 김성일과 결혼하면서 그야말로 빙상인 대가족이 되었다.
파일:external/ph.joongboo.com/907185_880332_3910.jpg
가족행사에서 찍은 기념사진. 왼쪽부터 박승희, 박승주, 박세영 삼남매

  • 일반적으로 대학교를 졸업하고 실업팀에 입단하는 다른 스케이트 선수들과 달리 박승희는 2011년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실업팀에 입단했는데, 안 그래도 빙상 종목은 돈이 많이 드는 종목인데 3남매가 동시에 대학을 다니면 부모님이 금전적 부담을 감당하기 힘들게 되기 때문에 내린 결정이다.[15]

  • 말이 많고, 빠르고 또 잘한다. 중학교 2학년 때 첫 방송인터뷰도 여러번 해본 사람처럼 했으며 경기가 끝나고 정신없는 와중에도 인터뷰를 하면 술술 잘한다. 어린 선수들이 많아 인터뷰가 서툰 여자 대표팀에서 주로 대변인의 역할을 한다고 한다. 쉴새없이 수다를 떨어 팬들이 붙인 별명이 '박조잘'이다.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1500m 출전을 포기하고 이상화, 김연아와 함께 관중석에 앉아 있었는데 쉴새없이 조잘거리는 박승희와 적당히 맞장구 쳐주는 이상화와 빙긋이 웃고만 있는 김연아를 볼 수 있었다. 대표팀에서의 별명은 '투덜이'. 코치가 연습을 시키면 투덜거리고 불만사항이 있으면 직설적으로 건의한다. 그렇지만 막상 연습을 하면 집중해서 열심히 하기에 코치들도 그러려니 하고 넘어간다고 한다.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500m 결승전에서의 일 때문에 뒷 선수의 과실로 넘어질 때에 대한 특별한 구제책이 존재하지 않는 쇼트트랙 규정[16]대한민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또한 박승희를 밀어 넘어뜨렸던 엘리스 크리스티는 국내 네티즌에게 극심한 비난에 시달렸다. 이에 그녀는 "(크리스티는) 정말 착한 선수다. 나보다 더 많이 울었고 언젠가 찾아와 미안하다고 할 것"이라고 했다. 크리스티는 페이스북에 사과글을 올렸고 직접 만나 사과했다. 직후 열린 세계선수권 500m에서는 나란히 금, 은메달을 차지한 뒤 시상식에서 다정하게 어깨동무를 하고 찍은 사진이 화제가 되었다. 올림픽에서의 악연은 이제 정말로 마음 속에 담아두지 않는 듯하다. 2014년 7월 크리스티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사적으로 만나 인증샷을 각자의 SNS에 올렸다.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2581873-1C5444BC00000578-848_634x445.jpg
2014년 세계선수권 500m 시상식

  • 중국 선수들에게 유별나게 견제를 당하고 사이가 나쁘다. 위에 언급된 것들 이외에도 셀 수 없이 거의 모든 경기에서 반칙성 플레이를 당하며 특히 왕멍, 리지안루, 판커신과의 마찰이 많다. 2013년 세계선수권 이후 왕멍과는 서로 대놓고 싫어하고 국제대회에서 기싸움을 하는 몇 안되는 선수이다.[17] 그렇기에 중국 쇼트트랙 팬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으며 바이두 쇼트트랙 게시판에서 가장 핫한 까이는 외국 선수이다. 그러나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계주에서 실격당한 중국 대표팀에게 "우리와 똑같이 금메달을 위해 노력했을 중국 선수들이 실격을 당했는데 그 기분을 잘 안다. 4년 후에 또 올림픽 열리니 서로 열심히 해서 선의의 경쟁을 했으면 좋겠다"고 위로하며 진정한 스포츠맨십을 보여줬다. [18]


  • 2014년 MBC 일밤 진짜 사나이 여군 특집에 출연했다. 이규혁 曰 "너 메달 땄잖아! 면제 아니야?" 국가대표 운동 선수라서 당연히 훈련을 아주 잘 해내었고, 오히려 그래서 편집을 많이 당해 아쉬움을 샀다. 오히려 못해야 웃긴 예능 프로그램. 유일하게 제대로 나온 장면도 화생방인데, 그마저도 하필이면 혼나는 안 좋은 장면이다. 근데 잘 보면 조교가 좌향좌를 외쳐야 하는데 실수로 우향우라고 했고, 다른 사람들은 조교 말 안 듣고 좌향좌를 하고 박승희만 제대로 우향우 했는데 혼났다. 역시 군대는 묻어가야 제맛이다 현실고증 100%
파일:jogyobyungsin.gif
또한 상체가 약하다고 털어놓았는데 팔굽혀펴기에서 혜리보다 낮게 나왔었다. 자기는 하체운동하는 운동선수라고 얘기하니까 웃음이 나왔다.


  • 2020년 9월 은퇴한 이후 1년 가까이 준비한 패션 브랜드(가방) 런칭을 발표했다. 선수 때부터 옷을 감각 있게 소화하기로 유명했고 패션 디자이너가 꿈이었다고 거론해온 만큼 의미 있는 새출발이 될 것으로 보여졌다. 2021년 6월 15일 Hey.News 삼터뷰에 출연하여, 가방 브랜드 런칭을 준비하면서 눈물을 쏟을 만큼 힘들었다고 밝혔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SBS 해설위원으로 발탁되었다. 쇼트트랙 남자 500m 준결승 해설에서 중국 선수들의 반칙에 자신이 당한 경험을 덧붙이며, 중국 선수들이 경기 중 벌인 '더티 플레이'에 당한 선수들의 심정에 공감을 표하기도 하였다. 이어 벌어진 편파 판정 사태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중국 담당 일진이라는 별명을 획득하였다. 시청률은 1위를 기록했는데, SBS가 동계 강자이며 인지도가 영향을 끼쳤다.

  • 남편과 더불어 LG 트윈스의 팬이다. 처음에는 고향팀 kt wiz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가 2018년에 2018 한국시리즈에서 SK 와이번스[19]유니폼을 입고 응원하는 모습으로 보여 응원팀이 바뀌었나 했지만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팬의 질문에 "처음 시구했던 팀인 LG 트윈스를 응원해보려고 한다"며 완전히 갈아탔음을 알렸다.


  • 2004 아테네 올림픽 양궁 2관왕을 달성한 박성현 선수와 비슷한 점이 있다. 두 사람 모두 성이 박씨이면서 중국 선수의 만행으로 금메달을 빼앗긴 피해자였지만, 다음 경기 때 금메달을 획득하여 중국 선수에게 당한 아픔을 설욕했다. 또한 아시아에서 개최된 올림픽에서 SBS 해설위원을 맡았다.[20]

[1] 시니어 국가대표 경력은 2007-08~2010-11, 2012-13~2013-14 (총 6시즌)[2] 국가대표 2014-15~2017-18 (총 4시즌)[3] 언니 박승주의 세례명은 마리아, 남동생 박세영의 세례명은 이냐시오다.[4] [5] [6] [7] 마지언타이틀 대표.[8] 태명은 금복이. 메달같은 덩이라는 뜻으로, 남편 엄준태가 지었다고 한다.[9] 現 화성 홍익디자인고등학교[10] 관련 인터뷰[11] 대한민국 선수로서는 최초. 세계 남녀 선수로서는 마크 가뇽, 빅토르 안, 아폴로 안톤 오노, 왕멍에 이은 5번째 기록이며, 여자선수로서는 2번째 기록이다.[12] 현재 세계최고의 여자선수인 최민정의 경우도 순발력이 장점으로 단거리에 강하지만 스타트가 경쟁자들보다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나 박승희는 타고난 순발력에 더해 스타트까지 매우 빨랐다. 단거리에서만큼은 우리나라 여자선수들 중에선 역대최고이다.[13] 박승희가 실력에 비해 수상 기록이 생각만큼 풍성하지 못한 데에는 리젠러우, 왕멍, 판커신 등이 고비 때마다 박승희를 방해하거나 넘어뜨린 탓이 분명히 있다. 절대 변명이 아닌 것이 대표적으로 2013 세계선수권 개인종합 우승을 왕멍의 희대의 더티플레이로 놓쳤다.[14]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3000m 계주 대표팀[15] 스케이트 부츠와 날은 매우 고가여서 빙상은 유지비가 매우 많이드는 종목이다. 맞춤 부츠(몰드화)에 메이플 등 고급날을 사용하면 일이백만원이 우습다. 게다가 날은 연마하지 않으면 탈 수 없는 사실상 소모품이다. 얼음과 맞닿는 부분은 강철이 아니기에 연마하면서 타다 보면 점점 높이가 낮아지고 밸런스가 나빠지므로 결국 교체해야 한다.[16]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일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스티븐 브래드버리가 2002년 솔트레이크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는 행운을 누렸다.[17] 왕멍은 같이 선수생활을 한 대선배 국가대표 감독 왕춘루도 폭행한 적 있는 선수라 부르기도 부끄러운 인간이며, 경기가 끝나고 술을 진탕 마시고 개가 되는 나쁜 술버릇으로 유명하다. 국제대회에서도 그 성질은 그대로여서 외국 선수들도 왕멍과 얽히는 것을 싫어했다.[18] 그래서 노는 언니에 출연을 했을 때,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하고,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가 되었을 때, 중국 선수들과 라커룸을 같이 쓰는 것에 굉장히 놀랐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쇼트트랙은 스피드 스케이팅에 비해 경기장도 좁고 마찰도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이가 그만큼 안 좋을 수 밖에 없는데, 그에 비해 스피드 스케이팅은 경기장이 넓고 자기가 갈 수 있는 라인들이 정해져 있어서 온전히 자신만의 레이스를 펼칠 수 있다. 그래서 중국 선수들과는 마찰이 작은 편이라고 할 수 있어서 전 쇼트트랙 선수인 박승희 입장에서는 문화충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라커룸 환경이기는 하다.[19] 現 SSG 랜더스[20] 공교롭게도 두 사람이 중국 선수에게 피해를 당한 광경을 지켜본 사람은 前 SBS 아나운서 배기완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18:29에 나무위키 박승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